대놓고 광고하는데 조회수도 높다? 1월 16일 아이디어 조각 찾는 순서 🧐
◾ 콘텐츠 마케팅 스터디 : 대놓고 광고하고 재미도 잡기
◾ 인끼글 top 5 by 아이보스
◾ 10초 컷 마케팅 늬우스
◾ 내공이 쌓이는 마케팅 퀴즈
|
|
|
콘텐츠 마케터는 다양한 콘텐츠를 기반으로 마케팅을 전개하는데요. '기획'은 예산을 아껴줄 수도(때로는 낭비할 수도), 성과를 극대화할 수도 있는 존재예요. 그래서 지난 시간에는 '한 줄 영상 기획'에 대해서 알아봤고, 이번 시간에는 '대놓고 광고하는 기획'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해요.
브랜드와 상품의 마케팅을 위한 콘텐츠에서 가장 큰 적은 '노잼'이에요. 많은 기업 콘텐츠가 노잼인 원인은 '마케팅과 재미의 불균형' 때문인데요. 마케팅 요소를 너무 넣어서 균형이 무너진 거예요. 반대로 재미는 있는데 마케팅 효과가 없는 콘텐츠도 많아요. 조회수가 100만 회가 넘어도, 브랜드와 상품에 대한 언급이 전무하다면 실패한 콘텐츠 마케팅이라고 볼 수 있어요.
그래서 우리는 '대놓고 광고하면서도 재밌는 포맷 기획'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유튜브 채널 <숏박스>의 영상 콘텐츠를 기준으로 3가지 특징, 그리고 공부하는 방법까지 살펴볼 거예요! |
|
|
첫째, 광고를 충분히 녹일 수 있는 포맷이 가장 중요합니다 |
|
|
<숏박스>의 홈쇼핑편에서는 '홈쇼핑' 그리고 '쇼호스트'가 기획의 핵심 포인트예요. 홈쇼핑을 준비하고 방송하는 상황에서 쇼호스트들의 일상적인 대화에 담긴 티키타카가 기본적인 재미 포인트죠. '일상적인 대화의 티키타카' 속에서 재미를 뽑아내는 <숏박스> 채널의 특징을 살리는 좋은 기획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홈쇼핑이라는 소재 자체가 대놓고 상품의 브랜드명, 특징 등을 말할 수 있는 포맷이라는 점이에요. 원래도 홈쇼핑은 특정 상품의 강점을 대놓고 말하는 곳이라는 거죠. 홈쇼핑, 쇼호스트의 이야기가 영상 기획의 프레임이 되기 때문에 어떤 분야의 상품도 녹일 수 있고, 동시에 제품의 상세한 장점을 대놓고 이야기할 수도 있어요. 그렇게 해도 콘텐츠의 재미를 해치지 않아요. |
|
|
둘째, 채널 본연의 재미 속에 상품의 특징을 자연스럽게 녹여내야 합니다 |
|
|
숏박스는 2~3명의 메인 출연자가 등장해 주제에 맞게 말장난스러운 대화를 하는 게 가장 큰 특징인데요. 서로의 관계에 맞는 대화를 주고받으면서 생기는 농담, 공감대 높은 디테일한 표현들을 주로 재미 포인트로 활용해요. 이런 특징 속에 '면도기'라는 상품을 넣어서 재미와 마케팅의 균형감을 맞췄죠. |
|
|
"오늘 면도기 공부 좀 했어요?"
"나 원래 겨드랑이 이걸로 밀어 가지고 공부할 게 없어"
"확실히 잘 밀리죠?"
"다들 나 레이저한 줄 안다니까?"
"그게 확실히 밀착돼 가지고 잘 밀리긴 해. 홍석천 머리 밀 때도 그걸로 민대요"
|
|
|
홈쇼핑에 출연하는 쇼호스트, PD, 보조 출연자들의 준비과정이 주요한 상황이기에 그에 맞게 '면도기' 상품에 대한 준비, 친한 PD와 쇼호스트의 농담, PD와 보조 출연자 사이의 상황극 속에서 개그 포인트를 살렸어요.
|
|
|
셋째, '홈쇼핑' 프레임을 살리기 위해 가장 적합한 출연자를 선택합니다 |
|
|
홈쇼핑 프레임 속에 광고를 녹여냈지만, 실제 쇼호스트가 등장하지 않는다면 '프로페셔널'한 느낌이 부족하고, 광고 영상임이 더욱 드러날 수 있어요. 실제 전문 쇼호스트가 프로페셔널한 모습을 보여준다면 시청자 입장에서도 설득력을 갖게 되죠. 이런 기본기 위에 광고가 녹아들었을 때, 충분한 재미를 느끼면서도 광고를 살릴 수 있어요. |
|
|
광고하고자 하는 포인트도 잘 살리면서, 조회수도 잘 나오는 재밌는 콘텐츠를 기획한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본문에서는 콘텐츠 마케터가 '대놓고 광고하는 포맷 기획'을 공부하는 방법을 5가지 포인트로 정리해뒀어요. 대박 나는 콘텐츠 만듭시다! 😆 |
|
|
◾ 연말 특수 없었다, 이커머스 거래액 감소지난 연말, 소비침체로 이커머스 10개 업체 중 7곳의 거래액이 감소했어요. 쿠팡은 카드 결제 3조 2300억 원으로 1위를 차지했고, G마켓과 CJ온스타일은 각각 3875억 원, 3003억 원으로 뒤따랐어요. 경기가 어려운 시기에 연말 특수 없이 플랫폼들이 부진한 실적을 기록하며 이커머스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어요.
◾ 지상파 3사, 네이버에 저작권 침해 소송
◾ 카카오, 9년 만에 다음 앱 전면 개편
카카오가 9년 만에 포털 ‘다음’ 앱을 전면 개편하며 종합 콘텐츠 플랫폼으로의 도약을 선언했어요. 새롭게 개편된 앱은 홈, 콘텐츠, 커뮤니티, 쇼핑 4개 탭으로 구성됐어요. 다음은 개인화된 콘텐츠와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에요. 이번 개편과 함께 새로운 BI도 선보였는데요. 네 가지 색상을 사용했던 로고를 짙은 푸른색으로 통일했어요.
|
|
|
※ 회원이 아니더라도 매일 퀴즈를 풀어보세요! (클릭) |
|
|
#큐-노트
이번에 도로 살얼음 때문에 자유로에서 사고도 발생하고, 출근길에도 너무 미끄럽더라고요. 횡단보도에서는 흰색 부분 쪽은 피해서 걸어야 했고요. 다들 혹시나 넘어지진 않으셨을지 걱정되네요. 저희 큐레터 운영진 중 한 명은 넘어져서 가벼운 고통을 호소했답니다. 😢 |
|
|
◾ 이름, 메일 주소를 변경하시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
◾ 스팸함에 빠진 큐레터가 울고 있다면, hey@qletter.co.kr 을 주소록에 추가해주세요.
|
|
|
큐레터hey@qletter.co.kr서울 금천구 벚꽃로 234, 1202호 / 070-4349-6156더 이상 이메일 수신을 원하지 않으실 경우 수신거부를 클릭해주세요.
If you don't want to receive this e-mail anymore, [Click here] |
|
|
|
* 본 메일은 큐레터 이메일 수신에 동의하신 분을 대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
|
|
|
|